안윤옥교수
국제관 231호
예방의학-역학(Epidemiology)암역학(Cancer Epidemiology)의학통계(Medical Statistics)
조수헌교수
유근영교수
암 역학 연구실 유전체 코호트 연구실
유근영 교수 연구실 바로가기
국내 연구활동은 물론 세계적 수준에서 국제보건 협력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유근영교수의 암역학연구실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사전에 예방라고 관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300편 이상의 역학 연구논문과 30편 이상의 저서를 통해 예방의학을 연구 중심의 학문분야로 정착시키는데 크게 기여였으며, 한국의 암 역학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향상시켰다. 한국인에서 빈발하는 암의 암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수행한 환자-대조군 연구나 코호트 연구를 통해 ´비만하면 사망위험이 높다´, ´특정 헬리코박터균이 위암의 주범´, ´잘못된 지방식이가 유방암을 일으킨다´, ´콩이 위암을 예방한다´, ´모유 수유가 유방암을 예방한다´ 등 일반인에게 유용한 암예방 정보를 제공하여왔다. 국내 최초의 코호트 연구논문 발표, 국내 최초의 분자역학적 연구 논문 등의 업적은 물론이고, 1993년에 국내 최초로 만들어진 유전체 코호트(KMCC) 연구는 100만명 규모의 아시아 코호트 컨소시엄을 한국의 주도로 2005년에 창설하는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으며, 한국의 암 역학연구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화 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유근영 교수는 한국의 대표적 예방의학자로서 암 예방을 위한 많은 수많은 연구업적뿐만 아니라 국립암센터 원장으로 재임기간중에는 국가 암정복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암예방 실천지침을 마련하는 등 암 예방을 위한 정책과 지침을 마련하는데 앞장섰다. 2006년부터는 아시아-태평양 암예방기구(APOCP)의 사무총장으로서 아시아 각국의 국가암관리를 지도하고 있다.
만성질환 관리 질병 예측모델 암 역학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유전체 암 코호트 국가암관리 의학연구방법론 의학통계론 국제보건 및 글로벌의학
His major interest is in cancer epidemiology, risk factor analysis, genetic susceptibility and preventive measures. In 1992, he conducted a multi-center collaborative study to establish a community-based prospective cohort (KMCC), that is the first genomic cohort in Korea and one of the distinguished cohorts with biologic specimen bank in the world. He has continued to contribute to the newly constructed Korean genome cohort studies as the PI. He has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ociety since 2005. He led the Asian Cohort Consortium to establish a cohort of at least one million healthy people through partnership with other cohorts since 2005. A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Asian Pacific Organization for Cancer Prevention since 2006, he is devoted to enhance cancer control strategie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ransfer knowledge, capacity building, and exchanging cancer control activities in the region. He was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Cancer Center of Korea from 2006-2008, and led the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in Korea.
박병주교수
약물역학연구실, 빅데이터분석
박병주 교수 연구실 바로가기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약물역학연구실은 1993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약물역학연구 분야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며 30여명의 석,박사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국내 학계, 산업계, 정부부처 등 여러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을 뿐 아니라, ISPE, AsPEN 참여 등 국제적 교류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약물사용평가(DUR), 데이터마이닝, 부작용 인과관계 평가, 비교효과연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최신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약물역학은 역학(epidemiology)과 임상약리학(clinical pharmacology)이 접목된 새로운 학문분야이다. 역학의 정의가 인구집단에서 발생하는 각종 건강-질병현상의 발생수준을 측정하고, 각 현상의 발생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약물역학은 여러 관련요인들 가운데 특히 약물을 대상으로 삼는 새로운 학문분야이다. 즉, 인구집단에서 약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롭거나 해로운 결과의 빈도를 파악하고, 특정 약물복용과 질병발생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역학적인 지식과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약물역학, 임상역학, 임상예방의학
Professor Park’s laboratory focuses on pharmacoepidemiology, clinical epidemiology, and evidence-based medicine. Pharmacoepidemiology is a study of effects and the utilization of drugs in the large population. His laboratory is active in many fields including study design/statistical modeling, pharmacovigilance using data-mining, post-marketing surveillance, drug utilization review, vaccine safety, and risk management. He is also interested in establishing evidence-based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EBCPM) and high qual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system in Korea. Professor Park is the Director of the Medical Research Collaborating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him in 2004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110-79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번지 기초연구동
연락처 | 대표전화 : 02-740-8333 FAX : 02-747-4830 E-MAIL :
Copyright (C) 201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LL RIGHTS RESERVED